연산자

설명

연산자는 데이터를 계산하고 비교하는 등의 작업을 하기 위한 기호예요.

한글 코딩에서는 아래와 같은 연산자를 지원해요.

  • 산술 연산자

    • + : 무언가를 더합니다.

      • 숫자 + 숫자 → 숫자 (10 + 10 → 20)

      • 문자 + 문자 → 문자 ("안녕" + "친구들" → "안녕친구들")

      • 문자 + 숫자 → 문자 ("10" + 20 → "1020")

    • - : 숫자를 뺍니다.

      • 숫자 - 숫자 → (10 - 6 → 4)

    • * : 무언가를 곱합니다.

      • 숫자 + 숫자 → 숫자 (10 * 2 → 20)

      • 문자 + 숫자 → 문자 ("안녕" * 4 → "안녕안녕안녕안녕")

    • / : 앞 수에서 뒤 수를 나눕니다.

      • 숫자 + 숫자 → 숫자 (10 / 4 → 2.5)

    • // : 앞 수에서 뒤 수를 나누어 몫을 계산합니다.

      • 숫자 + 숫자 → 숫자 (10 // 4 → 2)

    • % : 앞 수에서 뒤 수를 나누어 나머지를 계산합니다.

      • 숫자 + 숫자 → 숫자 (10 / 4 → 2)

    • ** : 앞 수를 뒤 수만큼 제곱합니다.

      • 숫자 + 숫자 → 숫자 (2 ** 3 → 8)

  • 비교 연산자

    • < : 왼쪽 수가 오른쪽 수보다 작은지(미만) 비교합니다.

      • 숫자 < 숫자 → 참/거짓 (3 < 4 → 참)

    • <= : 왼쪽 수가 오른쪽 수보다 작거나 같은지(이하) 비교합니다.

      • 숫자 <= 숫자 → 참/거짓 (3 <= 3 → 참)

    • > : 왼쪽 수가 오른쪽 수보다 큰지(초과) 비교합니다.

      • 숫자 < 숫자 → 참/거짓 (3 > 4 → 참)

    • >= : 왼쪽 수가 오른쪽 수보다 크거나 같은지(이상) 비교합니다.

      • 숫자 >= 숫자 → 참/거짓 (3 >= 3 → 참)

    • == : 왼쪽 데이터와 오른쪽 데이터가 같은지 비교합니다.

      • 숫자 = 숫자 → 참/거짓 (3 = 3 → 참)

      • 문자 = 문자 → 참/거짓 ("안녕" = "반가워" → 거짓)

    • != : 왼쪽 데이터와 오른쪽 데이터가 같지 않은지(다른지) 비교합니다.

      • 숫자 != 숫자 → 참/거짓 (3 != 3 → 거짓)

      • 문자 != 문자 → 참/거짓 ("안녕" != "반가워" → 참)

  • 논리 연산자

    • 이고, : 두 개의 비교 연산 결과가 모두 참인지 확인합니다.

      • {비교 연산} 이고/고 {비교 연산}

        • (참 이고 참 → 참)

        • (참 이고 거짓 → 거짓)

        • (거짓 이고 거짓 → 거짓)

    • 이거나, 거나 : 두 개의 비교 연산 결과 중 하나 이상이 참인지 확인합니다.

      • {비교 연산} 이거나/거나 {비교 연산}

        • (참 이거나 참 → 참)

        • (참 이거나 거짓 → 참)

        • (거짓 이거나 거짓 → 거짓)

    • ! : 바로 뒤의 내용을 부정(반전)합니다.


검색 키워드

더하기, 빼기, 곱하기, 나누기, 비교하기, 크다, 작다, 이상, 이하, 초과, 미만, 같다, 등호, 부등호

Last updated